투자

1년에 연금저축이랑 irp 각각 얼마를 넣는것이 유리할까?

by 정미니89 2025. 9. 1.
본문글자

📌 기본 세액공제 구조

  1. 연금저축
    • 연간 불입 한도: 600만 원
    • 세액공제율:
      • 총급여 5,500만 원 이하 (종합소득 4,000만 원 이하) → 16.5%
      • 그 이상 → 13.2%
  2. IRP (퇴직연금 계좌 포함)
    • 연간 불입 한도: 700만 원 (단, 세액공제는 연금저축 합산 기준으로 적용)
    • 세액공제 대상: 연금저축 + IRP 합산 최대 900만 원

즉, 연금저축과 IRP를 합쳐서 최대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.


📊 어떤 배분이 유리할까?

  • 연금저축: 600만 원 / IRP: 300만 원
    👉 가장 일반적이고 세액공제 극대화 방식
    👉 연금저축에서 600만 원까지 채우고, 나머지 300만 원은 IRP에 넣으면 합계 900만 원
  • 연금저축만 600만 원 이하 납입
    👉 IRP를 활용하지 않으면 600만 원까지만 세액공제 가능
    👉 900만 원 한도보다 300만 원 부족 → 절세 혜택 줄어듦
  • IRP만 900만 원 납입
    👉 세액공제는 동일하게 900만 원까지 가능
    👉 하지만 IRP는 중도 인출이 까다롭고(퇴직, 무주택 주택구입 등 특정 사유 외엔 인출 불가) 운용 제약이 있음
    👉 따라서 유동성이 조금 더 좋은 연금저축 600만 원 + IRP 300만 원이 더 유리

✅ 결론

  • 세액공제를 최대로 받으려면
    연금저축 600만 원 + IRP 300만 원
  • 현금 유동성이 중요하다면
    연금저축을 우선 채우고, IRP는 최소한만 활용

📊 소득 구간별 세액공제율

  • 총급여 5,500만 원 이하 (종합소득 4,000만 원 이하) → 16.5% 공제
  • 총급여 5,500만 원 초과 (종합소득 4,000만 원 초과) → 13.2% 공제

✅ 세액공제 비교표

납입 구조합계 납입액세액공제율 (≤5,500만)절세 금액세액공제율 (>5,500만)절세 금액
연금저축 600만 원 600만 원 16.5% 99만 원 13.2% 79.2만 원
연금저축 600만 원 + IRP 300만 원 900만 원 16.5% 148.5만 원 13.2% 118.8만 원
IRP만 900만 원 900만 원 16.5% 148.5만 원 13.2% 118.8만 원
연금저축 400만 원 + IRP 200만 원 600만 원 16.5% 99만 원 13.2% 79.2만 원

🔎 정리

  1. 세액공제 극대화 → 연금저축 600만 + IRP 300만 (합계 900만)
  2. 세금 혜택은 IRP든 연금저축이든 합계 기준으로만 보지만,
    👉 IRP는 인출이 까다로움, 따라서 연금저축을 먼저 채우고 IRP는 보조가 효율적.
  3. 소득 5,500만 원을 기준으로 절세 효과가 약 20~30만 원 차이 발생.

 

'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부자아빠, 가난한 아빠  (0) 2025.09.03
연금저축, IRP, ISA 절세 혜택 총정리  (6) 2025.08.10

'투자'의 다른글

  • 현재글1년에 연금저축이랑 irp 각각 얼마를 넣는것이 유리할까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