투자

연금저축, IRP, ISA 절세 혜택 총정리

by 정미니89 2025. 8. 10.
본문글자

✅ 연금저축, IRP, ISA 절세 혜택 총정리


📌 1. 연금저축 + IRP 세액공제 한도

구분세액공제 한도 (연간)비고
연금저축 최대 600만원 단독 한도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(추가 납입 가능하지만 공제 안 됨)
IRP 최대 900만원 단독 한도는 700만 원 (세액공제는 연봉 따라 상이)
 

 연금저축 + IRP 합산 최대 공제 한도는 900만원입니다.
단, 세액공제는 본인의 총급여에 따라 최대 700만원까지만 적용됩니다.


✅ 세액공제 한도별 공제율 요약

총급여 기준세액공제 한도세액공제율최대 공제액
5,500만원 이하 700만원 16.5% 115,500원
5,500만원 초과 700만원 13.2% 92,400원
 

📌 2. 연금저축 + IRP 납입 순서 꿀팁

1️⃣ 연금저축 600만원 먼저 납입
2️⃣ IRP에 300만원 납입
3️⃣ 이후 추가 자금이 있을 경우
    → 연금저축에 추가 납입 (900만원까지 가능)
    → 단, 공제 한도(700만원)는 초과할 수 없음

 연금저축 + IRP 세액공제 대상 납입금은 중도인출 시 공제 혜택 회수되니 주의!


✅ 3. 절세 3총사 요약

항목주요 혜택
연금저축 세액공제, 연금 수령 시 분리과세(3.3~5.5%) 가능
IRP 퇴직금 포함 가능, 세액공제, 노후자금 활용
ISA 금융소득 통합 관리, 비과세 및 손익 통산 혜택
 

📌 4. ISA 계좌란?

ISA(Individual Savings Account)는 예적금, 펀드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 한 계좌에서 통합 관리하고,
손익통산 및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계좌입니다.


✅ ISA 계좌 주요 혜택

항목내용
납입한도 연 2,000만원 × 5년 = 최대 1억 원 납입 가능
비과세 한도 일반형: 200만원 / 서민형: 400만원까지 비과세
의무가입기간 최소 3년 (조건 충족 시 비과세 혜택 적용)
과세 방식 순이익에 대해서만 과세 (손익 통산 적용)
초과수익 과세 9.9% 분리과세 적용 (일반 금융소득보다 저율 과세)
중도인출 가능 여부 가능 (단, 의무가입기간 충족 안 하면 비과세 혜택은 제외)
 

💡 연금저축/IRP는 작년 부족분을 올해 소급 납입할 수 없지만,
ISA는 초과 납입 시 이전 손실과 통산하여 비과세 적용 가능
합니다.


📌 5. 연금 투자 분산 비율 예시

장기적인 수익률과 리스크 관리를 고려한 분산 포트폴리오 구성

자산군비중설명
주식 50% 성장 가능성 높은 자산 (국내외 ETF 등)
국채 30% 안정적인 수익 추구 (국내외 채권)
20% 인플레이션 헤지 및 안전자산 역할
 

✅ 종목 추천 예시

종목명특징
ACE KRX 금현물 (환노출형) 금 + 달러에 동시 투자 가능. 인플레이션, 환율 방어
KODEX 200 미국채혼합 국내 우량주 + 미국 국채(4:6 비율, 환노출형)로 안정적인 수익 기대
 

📝 마무리 요약

  • 연금저축과 IRP는 세액공제를 활용한 가장 강력한 노후 절세 전략
  • ISA는 단기·중기 자금 운용에 절세형 통합계좌
  • 납입 순서, 상품 분산, 비과세 한도 등을 잘 이해하고 꾸준히 운용하면
    절세 + 자산 형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

'투자'의 다른글

  • 현재글연금저축, IRP, ISA 절세 혜택 총정리